반응형 기타12 황금빛 노후를 만들자 ! 프로젝트 :『 연금술사 』(2) - 국민연금 연금은 '시간'에 투자하는 것 앞의글에서도 말했듯 투자는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종목을 발굴'한 뒤 실제로 오랜 시간을 들여 장기투자를 해야 한다. 이 방법이 평범한 다수의 사람에게 그나마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다. 단기간의 부를 쌓기 위해 혈안이 되다 보면 많은, 아니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장에서 도태되거나 떠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업으로 삼는 기관투자자들도 지속적인 단기 이익을 이뤄내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이미 인정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연금은 반 강제적으로 우리에게 장기적인 투자 시간을 제공해준다. 그러다 보니 우리가 가져야할 것은 우상향 할 종목을 발굴한 뒤 장기 투자를 지속해나가면 된다. 투자를 하다 보면 가파른 등락에 맞춰 손절을 하고 싶은 때가 오기.. 2021. 1. 14. 황금빛 노후를 만들자 ! 프로젝트 :『 연금술사 』(1) 프롤로그 : '돈을 불리기 위해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뭘까?' 1.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종목을 발굴해낼 수 있는 안목 2. 시장 상황을 파악하여 저가매수/고가매도의 타이밍을 잡는 센스 3. 큰 돈을 배팅할 수 있는 야수의 심장 4. 내가 사면 오르고 팔면 내리는 천운 여러분은 위 4개 중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한번 생각해봅시다. 절대적인 정답은 당연히 존재하지 않겠지만, 저는 1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번은 시장의 타이밍을 지속적으로 맞춘다는 것은 신의 영역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3번은 그 자체로 너무나 큰 리스크가 있기에 '모 아니면 도'의 성격이 커 보입니다. 4번은 스스로가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이죠. 그래서 그나마 사람들이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이 1번이라.. 2021. 1. 12. 직장인재테크(6)_ 연말정산(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 차감징수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산출세액과 세액감면 및 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사실상 연말정산의 과정은 끝이 났네요 ㅎㅎ. 저도 공부하면서 많이 배웠다고 생각이 듭니다. 꾸준히 하다보니 점점 익숙해지는 것 같아요.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연말정산의 원리에 대해 끝을 맺어보려고 합니다.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위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결정세액에서 기납부세액을 빼고 나면 차감징수세액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차감징수세액이 (-)라면 우리는 연말정산 시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차감징수세액이 (+)라면 우리는 연말정산 시 세금을 추가납부 해야합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결정세액 => 우리가 실제로 내야 할 세금 기납부세액 => 우리가 실제로.. 2020. 12. 11. 직장인재테크(5)_ 연말정산(산출세액 - 세액감면 및 공제 = 결정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종합소득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통해 산출세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사실상 이번 포스팅이 연말정산의 끝이니 힘내서 나아가 봤으면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출세액에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를 빼서 결정세액을 구하려고 합니다. 이 결정세액은 우리가 실질적으로 내야 할 세금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가 1년 동안 냈던 세금과 비교해서 세금을 더 낼지 혹은 냈던 세금을 환급받을지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그래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 부분에서 가능한 한 많이 공제를 받는다면 연말정산에서 유리하게 작용하겠죠?? 종류는 좀 다양하지만 어렵지 않으니 하나씩 하나씩 나아가봐요!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앞의 글에서 산출세.. 2020. 12. 1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