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말정산6 직장인재테크(6)_ 연말정산(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 차감징수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산출세액과 세액감면 및 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사실상 연말정산의 과정은 끝이 났네요 ㅎㅎ. 저도 공부하면서 많이 배웠다고 생각이 듭니다. 꾸준히 하다보니 점점 익숙해지는 것 같아요. 이번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연말정산의 원리에 대해 끝을 맺어보려고 합니다.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위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결정세액에서 기납부세액을 빼고 나면 차감징수세액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차감징수세액이 (-)라면 우리는 연말정산 시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차감징수세액이 (+)라면 우리는 연말정산 시 세금을 추가납부 해야합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결정세액 => 우리가 실제로 내야 할 세금 기납부세액 => 우리가 실제로.. 2020. 12. 11. 직장인재테크(5)_ 연말정산(산출세액 - 세액감면 및 공제 = 결정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종합소득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통해 산출세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사실상 이번 포스팅이 연말정산의 끝이니 힘내서 나아가 봤으면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출세액에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를 빼서 결정세액을 구하려고 합니다. 이 결정세액은 우리가 실질적으로 내야 할 세금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가 1년 동안 냈던 세금과 비교해서 세금을 더 낼지 혹은 냈던 세금을 환급받을지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그래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 부분에서 가능한 한 많이 공제를 받는다면 연말정산에서 유리하게 작용하겠죠?? 종류는 좀 다양하지만 어렵지 않으니 하나씩 하나씩 나아가봐요!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앞의 글에서 산출세.. 2020. 12. 10. 직장인재테크(4)_ 연말정산(종합소득 과세표준 - 기본세율 = 산출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근로소득금액에서 각종공제를 통해 종합소득과세표준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통해서 산출세액을 구해볼 것입니다. 산출세액까지 구하고 난 이후에는 세액감면과 세액공제만 지나면 연말정산이 끝이 납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ㅎㅎ.. 이번 포스팅은 정말 간단하게 본인의 종합소득 과세표준에 맞게 세율을 곱하면 끝이 납니다. 전혀 어렵지 않으니 따라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앞의글에서 종합소득 과세표준은 1,430만원이 나왔습니다. 이제 이 금액과 기본세율을 이용해봐서 계산해보죠! 기본세율을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현재 과세표준은 1,430만원으로 기본세율 표 상 2번째에 .. 2020. 12. 9. 직장인재테크(3)_ 연말정산(근로소득금액 - 각종공제 = 종합소득 과세표준)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총급여와 근로소득공제를 통해 근로소득금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로소득금액과 각종 공제를 지나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다만, 공제 내용이 좀 많아 여러 가지 상항들을 보고 구체적인 수치들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글의 양이 다소 길어질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 개씩 스텝 바이 스텝으로 나아간다면 별 무리 없이 마무리 지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공제되는 항목이 5개로 꽤 많죠..?ㅎㅎ 하나씩 파헤쳐 봅시다! 1. 인적공제 인적공제는 사람에 대한 공제인데요. 일반적으로 부양가족에 대한 공제를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4인가족일 경우 1명당 150만.. 2020. 12.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