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투자/기업 분석40

포스코케미칼(003670), 어디까지 갈까? 오늘 소개해드릴 종목은 '포스코케미칼'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기업집단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이기도 합니다. 가장 먼저 포스코케미칼의 사업영역부터 들여다보겠습니다. ■ 사업영역 포스코케미칼의 사업영역은 위와 같이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 내화물본부 (전체 매출 30%) 내화물은 기간산업의 공업용로에 사용하는 재료입니다. 철강산업과 시멘트 및 요업 등의 산업에 있어서 중요한 소재이며, 19년 기준 국내 시장 점유율 1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내화물본부의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내화물(4Q20 기준 전체 매출 12%), 로재정비(9%), 건설공사(4%)로 포스코케미칼의 매출 30%.. 2021. 2. 17.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SE US) 기업 분석(3)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 드디어 Sea 그룹 기업분석의 마지막 시리즈입니다. 앞에서 비즈니스 모델(정성)과 수치(정량)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ea 그룹의 수장인 Forrest Li와 Sea 그룹의 경쟁자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올 3~4월 Sea의 연간 보고서가 나오기 전까지 마지막 분석이 될 것 같네요. 가볍게 보고 가시죠! 아저씨는 누구신가요? 등 뒤로는 가레나를, 티셔츠에는 쇼피를 새기고 있는 푸근한 아저씨 한분이 서계신데요. 위 사진의 왼쪽에 계시는 분이 Sea 그룹 회장인 Forrest Li입니다. 이렇게 보이긴 하셔도 스탠퍼드 대학 MBA 출신이십니다..(역시 창업은 아무나 하는 게 아니...) 스탠퍼드 대학 재학 당시 .. 2021. 2. 15.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SE US) 기업 분석(2)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 앞의글에서는 Sea Ltd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치를 통하여 Sea의 비즈니스 모델이 얼마나 효과를 내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무리 좋은 생각이어도 실제 결과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투자의 세계에서는 의미가 없으니 말이죠. 그룹사 매출액의 가파른 성장세(2020 3Q 기준) Sea의 경우 현재 Net Income(당기순이익)이 (-)인 기업입니다. 그래서 다른 지표나 재무비율보다는 매출액 기업 Earnings(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왜 Sea의 Net Income이 (-)인지는 앞의 글에서 내용을 설명하였습니다) 먼저, Total Revenue(총 매출액)입니다. 2019년 3분기 6.. 2021. 2. 11.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SE US) 기업 분석(1) 제2의 텐센트, 알리바바, 아마존. 기회는 남아있다. Sea Ltd 시작은 미약했으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 동남아시아를 필두로 라틴 아메리카, 그 외 아시아 지역 온라인 비즈니스 분야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 중인 Sea Ltd입니다. 싱가폴 기업인 Sea Ltd의 전신은 Garena Interactive Holdings라는 스타트업 기업으로 Garena는 G(lobal) Arena의 합성어라고 합니다. 2009년 설립 당시엔 게임 배급을 전문으로 하는 스타트업이었으나, 2010년 중국 공룡기업인 텐센트의 투자를 받고나서부터는 180도 변하게 됩니다. 텐센트와의 협업을 통해 동남아 시장 게임 배급을 도맡다가 추후 게임 개발 비즈니스도 이어가게 됩니다. 2014년에는 핀테크 비즈니스를, 2015년에는 이커머.. 2021.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