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린이 첫걸음2

주린이 첫걸음 (9) - 맞고 싶다 상한가...(feat, 하한가/따상/상따/하따) 상한가.. 나에겐 언제 올 거니..? 맨날 말로만 들었던 상한가... 너도 기다리는 중이니..? 사실 상한가는 미국이나 유럽 주식시장에는 없는 개념이야!!(미국 주식만 해서 상관이 없더라....) 상한가 개념은 우리나라, 중국, 대만 등 아시아권 국가 혹은 신흥국 증시에 많이 있고 또, 나라별로 상한가의 범위는 모두 달라. 특정 종목이 하루에 오를 수 있는 한계치를 30%로 규정하고 있고 이를 상한가로 표현해! 반대로, 특정 종목이 하루에 떨어지는 한계치도 정해져 있어. 하락 30% 하는 경우를 하한가라고 표현해 우리나라는 -30~ +30%를 상/하한가로 범위로 지정하고 있어 예를 들면, 10,000원짜리 주식이 오늘 상승할 수 있는 최대 가격은 13,000원(10,000 + 10,000 * 30%)까지.. 2021. 3. 3.
주린이 첫걸음(3) - 주식 앱 사용법 : 미수금,예수금,증거금,반대매매 - "분명히 팔았는데 돈이 안 들어온다고..?", "사기당한 거 아니냐고..?" "헐 대박.. 어떻게 해.." "완전 사기 당했네...." 가 아니라 ㅋㅋㅋ 찾을 수 있어! 걱정 ㄴㄴ해 원래 주식을 팔아도 돈은 계좌에 바로 들어오지 않거든 ㅎㅎ 왜냐고? 주식에는 '결제일'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만약 너가 '오늘' 주식을 팔았다면 그 돈은 '내일 모래'들어오게 돼 그래서 분명히 주식을 팔았음에도 지금은 돈이 없는 거야. 하지만 이틀만 지나면 계좌로 돈이 들어오지. 우리는 이걸 쉽게 얘기해서 'T+2에 돈이 결제된다'라고 말하는데, 너가 주식을 판 날을 기준으로 2일 후에 돈이 들어온다고 생각하면 돼.(Today+2라고 이해하자) 그래서 주식을 팔자마자 돈을 이체하려고 해도 돈이 없다고 나오는 게 그런 이유야 .. 2021.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