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전재테크3 직장인재테크(5)_ 연말정산(산출세액 - 세액감면 및 공제 = 결정세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종합소득 과세표준과 기본세율을 통해 산출세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오느라 고생이 많으셨습니다! 사실상 이번 포스팅이 연말정산의 끝이니 힘내서 나아가 봤으면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출세액에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를 빼서 결정세액을 구하려고 합니다. 이 결정세액은 우리가 실질적으로 내야 할 세금을 의미하기 때문에 우리가 1년 동안 냈던 세금과 비교해서 세금을 더 낼지 혹은 냈던 세금을 환급받을지 결정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그래서 세액감면 및 세액공제 부분에서 가능한 한 많이 공제를 받는다면 연말정산에서 유리하게 작용하겠죠?? 종류는 좀 다양하지만 어렵지 않으니 하나씩 하나씩 나아가봐요! 먼저 연말정산 구조 상 현재의 위치부터 보도록 하죠. 앞의 글에서 산출세.. 2020. 12. 10. 직장인재테크(2)_ 연말정산(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 근로소득금액) 안녕하세요. 앞의글에서는 연간급여액과 비과세소득을 통해 총급여를 구하는 과정을 알아보았습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이 글을 보고 계신 순간부터 이미 연말정산의 많은 부분을 이해하고 계신다고 생각합니다. 남아있는 몇 개의 과정만을 더 지나고 나면 연말정산에 대한 모든 내용이 끝이 납니다. 그러니 의지를 가지고 끝까지 함께 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 또한 이 내용을 공부할 때 잘 모르겠고 의지는 떨어지니 의욕이 생기지 않더라고요. 제가 할 수 있는 한 가장 쉽게 설명을 드릴테니 꼭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행히도 이번 포스팅 내용은 꽤 간단합니다. 먼저 연말정산의 흐름 속에서 이번 포스팅에 어디에 속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의 구조와 포스팅의 위치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 2020. 12. 7. 직장인재테크(1)_ 연말정산(연간급여액 - 비과세소득 = 총급여) 안녕하세요. 직장인의 관점에서 재테크를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지에 관련된 콘텐츠 첫 번째로 연말정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연말정산이 엄청나게 많은 돈을 벌어주지는 않습니다. 다만, 딱 한 번만 공부해둔다면 쓸데없이 돈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입니다. 처음엔 어색해서 잘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내용 자체가 그렇게 어렵지 않고, 본인의 상황과 법이 조금씩 바뀌는 것을 Follow-up 해준다면 의미 없이 잃고 있는 돈을 챙길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장점으로는, 본인의 경제 상황을 연말정산과 시중 재테크 상품을 이해한 상태에서 대입을 해보면 더 높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연말정산만을 알거나, 재테크 상품만을 아는 것보다 두 가지에 .. 2020. 12. 5. 이전 1 다음 반응형